[C#] 바이너리 파일 쓰기/읽기

C#에서 바이너리 파일을 만드는 코드가 필요해 찾은 코드. 건망증으로 인하여.. 정리 차원에서 올려봅니다. 먼저 쓰는 것에 대한 코드를 정리해 보면…

FileStream fs = 
    new FileStream("D:/data.bin", FileMode.CreateNew, FileAccess.Write);
BinaryWriter bw = new BinaryWriter(fs);

int i = 100;
float f = 123.34f;
double d = 456789.1234;
string str = "cafe.naver.com/gisdev";

bw.Write(i);
bw.Write(f);
bw.Write(d);
bw.Write(str);

bw.Close();
fs.Close();

개인적으로 쓰는 데이터 타입에 대해 단 하나(Write) 매서드로 제공하지 말고.. 타입에 따라 제공해 줬다면 이해하기 쉬운 코드를 작성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예를 들어서 int 데이터 쓰기는 WriteInt, float 데이터 쓰기는 WriteSingle, double 데이터 쓰기는 WriteDouble, 문자열 쓰기는 WriteString로 말입니다.

그리고 아래는 위에서 만든 바이너리 파일에 대한 읽기에 대한 코드입니다.

FileStream fs = new FileStream("D:/data.bin", FileMode.Open, FileAccess.Read);
BinaryReader br = new BinaryReader(fs);

int i = br.ReadInt32();
float f = br.ReadSingle();
double d = br.ReadDouble();
string str = br.ReadString();

MessageBox.Show(i + " " + f + " " + d + " " + str);

br.Close();
fs.Close();

읽기에 대해서는 각 타입에 대해 읽기 매서드를 제공하고 있네요. 쓰기에 대한 방식과 읽기에 대한 방식을 이렇게 다르게 만든 이유가 뭘까요? 끝으로 String에 대한 저장은 문자열의 길이값을 저장하고 실제 문자열 데이터를 저장하는 형태입니다. 참고로 문자열의 길이가 256자 이내라면 문자열 길이값을 저장하기 위한 바이트 수는 1바이트만을 사용하고 그렇지 않으면 2바이트 이상(2바이트까지는 확인했고 3바이트 이상을 사용하는지는 확인해 보지 못했습니다)을 사용합니다. 참 똑똑한 놈지 않나…… 싶습니다.

카테고리C#태그

“[C#] 바이너리 파일 쓰기/읽기”에 대한 4개의 댓글

  1. 쓰는 경우는 대상의 타입에 따라 오버로딩 된 해당 함수를 찾을 수 있는 반면, 읽는 경우는 리턴 값으로 어떤 함수를 호출해야 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타입을 함수 이름에 명시적으로 나타냈을 것입니다.

    이런식의 코드였다면 더 좋아하셨을까요? ^^;
    writer.write(var.toBinary());
    var = reader.read(Size.Int).toInt();

    1. 안녕하세요. 제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코드는 읽기 쉬운 코드인지라.. 오히려 writeInt, writeBool, writeString 그리고 readInt, readBool, readString과 같은 코드를 더 좋아합니다. ^^

  2. if (File.Exists(strFileName))
    {
    FileStream fs = new FileStream(strFileName, FileMode.Open);
    BinaryReader br = new BinaryReader(fs);

    int nFileDataLen = (int)fs.Length / 16;

    try
    {
    for (int i = 0; i < nFileDataLen; i++) { int idx = br.ReadInt32(); int x = br.ReadInt32(); int y = br.ReadInt32(); } } catch (EndOfStreamException) { } finally { br.Close(); fs.Close(); } } 이런식도 좋아 보이네요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