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론트엔드 웹 페이지 JavaScript 개발 환경 만들기

기본 설정

# Node.js 설치

npm 명령 실행을 위함

# npm init -y

npm init는 package.json을 만들기 위한 명령이고 -y를 붙임으로써 별도의 입력 없이 기본 값으로 진행 시킴. package.json은 작성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에 대한 설정 파일로 볼 수 있으며, 프로젝트 이름과 버전 등과 같은 설명과 프로젝트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에 대한 정보 그리고 프로젝트 실행 등을 위한 명령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음. package.json 파일은 npm을 위한 파일임(VS.Code를 위한 것이 아님)

# npm install webpack webpack-cli --save-dev

# webpack.config.js 파일 생성 및 내용 작성

const path = require("path");
module.exports = {
    mode: "development",
    entry: "./src/index.js",
    devtool: "inline-source-map",
    module: {
        rules: [],
    },
    resolve: {
        extensions: [".js"],
    },
    output: {
        filename: "bundle.js",
        path: path.resolve(__dirname, "dist"),
    },
}

# src, dist 폴더 및 index.html(dist 폴더), index.js(src 폴더) 파일 생성

# index.html 코드 입력

...

<script src="bundle.js"></script> 

...

# index.js 코드 입력

console.log("Hello");

# package.json 파일의 “scripts” 파트에 “bundle”: “webpack” 입력

{
  ..
  "scripts": {
    ..
    "bundle": "webpack"
  },
  ..
}

# npm run bundle 실행

Typescript로 작성된 파일을 Javascript 파일로 트랜스파일링 시킴

자동 실행을 위한 설정

# package.json 파일의 “scripts” 파트에 “watch”: “webpack –watch” 및 “start”: “npm run bundle && npm run watch” 추가

{
  ..
  "scripts": {
    ..
    "bundle": "webpack",
    "watch": "webpack --watch",
    "start": "npm run bundle && npm run watch"
  },
  ..
}

# VS.Code에서 Live Server 확장 기능 설치

# npm run start 실행

이제부터 모든 Javascript 소스 코드들을 자동으로 bundle.js 파일 하나로 묶어줌

# index.html 열고 GO LIVE 활성화

IT 기술의 활용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 사이트

지금 자신이 사용하는, 학습하는 IT 기술이 시장에서 얼마나 많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먼저 Python입니다. AI 관련 프로젝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인데.. 그 추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다음은 개인적으로.. 미래의 서버 개발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될거라 생각하는 Express입니다.

그리고 요즘 제가 가장 많이 접하고 있는 웹 기반의 3D 기술인 three.js 라이브러리입니다. three.js에 대한 재미있는 점은 three.js가 미국 다음으로 한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여러분들도 자신이 관심이 있는 기술의 트랜드를 한번 확인해 보시면 미래에 대한 자신의 준비를 좀더 합리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거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