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 GPS 기능 관련 API 예제

모바일이 이미 충분히 대중화되었음으로 해서.. GIS 분야 중 하나인 LBS(Location Based System; 위치 기반 시스템)을 활용할 수 다양한 앱이 꽃을 피울 기회를 맞이 한지 이미 꽤 오래되었습니다.

이에 안드로이드가 탑재된 모바일 기기의 GPS를 통해 현재 자신의 위치를 얻을 수 있는 안드로이드 API를 활용하는 샘플 코드를 공유해 봅니다. 아래는 샘플 코드에 대한 스크린 샷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치(WGS84 타원체에 대한 경위도)는 물론이고 현재 이동 속도과 위치 정확도(휴대용 GPS의 경우 최고의 정확도 오차는 10m로 제한됨) 등을 얻어와 화면에 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GPS의 원체 데이터 형식인 NMEA0183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GPS에게 위치데이터 힌트를 제공하는 인공위성의 수 역시 제공하고 있는데요. 이 인공위성의 수는 NMEA0183 데이터로부터 얻어올 수 있습니다. 긴 설명보다는 실제 실행 가능한 예제 코드 샘플을 공유합니다.

인터넷 상에서 공유되고 있는 다양한 소스를 취합하여 이 하나의 예제 샘플을 제작했습니다. 안드로이드에서 GPS로부터 위치 데이터 등을 취득하고자 하시는 개발자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GPS로부터 수신받은 좌표(WGS84 타원체의 경위도 좌표)를 다른 좌표계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 URL을 통해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Android] OpenGL ES에서 텍스쳐맵핑용 비트맵 생성

몇일전.. 안드로이드에서 OpenGL ES의 텍스쳐 맵핑을 살펴보고 실습을 해보면서.. 아무리 해도 텍스쳐가 맵핑되지 않았습니다.. 일단 OpenGL에서 텍스쳐맵핑을 위한 OpenGL의 API의 사용순서에 문제가 있겠거니.. 하며 문제를 파악해 나갔지만.. 도통 모르겠다 싶었구요.. 그러던중.. 문제를 해결.. ㅜㅜ

텍스쳐 맵핑을 하기위한 준비 과정으로 먼저 Bitmap 객체를 하나 생성해야 하는데.. 아래의 코드를 통해 Bitmap 객체를 생성했었습니다.

Bitmap bitmap = 
    BitmapFactory.decodeResource(context.getResources(), R.drawable.texture);

이 한줄로 비트맵을 포맷에 상관없이 읽을 수 있는 안드로이드의 API에 감탄을 했던것같은데.. 바로 문제는 여기에 있었습니다.. 이 코드를 아래 코드로 변경해야 텍스쳐가 맵핑됩니다.

Bitmap bitmap = null;
InputStream is = context.getResources().openRawResource(R.drawable.texture);
try {
    bitmap = BitmapFactory.decodeStream(is);
} finally {
    try {
        is.close();
        is = null;
    } catch(IOException e) {
        //.
    }
}

감탄했던 단 한줄의 코드 대신.. 원시 데이터로써 비트맵을 읽어 스트림을 만들고 이 스트림을 통해 비트맵을 만드는 제법 복잡다단한 방법이 바로 옳바른 방법이였습니다.. 아래는 그토록 보고 싶어라 했던 텍스쳐가 맵핑된 화면 결과…

사용자 삽입 이미지
흠…. 답답했던 때가 언제었냐는듯.. 눈이 맑아집니다.. ㅎㅎ 만약 첫번째 방식으로 하여 텍스쳐맵핑이 않되시는 분이 계시다면 두번째 방법으로 접근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