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명주소(GRS80 타원체 UTM-K 좌표계)를 지적도(Bessel 타원체 중부원점 TM 좌표계)로 변환하기

국가공간정보유통시스템(NSIC)에서 다운로드 받은 도로명주소의 좌표계는 GRS80 타원체의 UTM-K 좌표계입니다. 그리고 국가 관공서에서 입수한 지적도는 Bessel 타원체의 중부원점 TM 좌표계입니다. 이 도로명 주소를 지적도의 좌표계로 변환하기 위한 내용을 정리해 둡니다. (맨날 까먹어.. –a)

사용하는 툴은 XrProjection입니다. 실행하고 가장먼저 변환 파라메터를 지정합니다. 지적도가 10 파라메터의 Molodensky-Badekas 변환이므로 아래처럼 지정합니다. 즉, 변환 파라메터 사용 여부를 체크하고 10 파라메터를 선택하고 Bessel -> GRS80(WGS84)의 체크를 제거합니다.

다음으로 폴더 대상 SHP 파일 변환을 선택합니다. 폴더를 지정해서 다수의 SHP 파일을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할 SHP 파일이 저장된 입력 폴더를 지정하고 좌표계를 UTM-K(GRS80 타원체)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출력 폴더에는 좌표가 변환된 SHP 파일이 저장될 폴더를 지정합니다. 출력 폴더 위의 좌표계는 변환할 좌표계인 대한민국 TM 중부원점(Bessel 타원체) – 10.405 보정을 선택합니다.

변환 버튼을 클릭하면 변환이 됩니다. 아래는 실제 도로명주소와 지적도에 대한 좌표계 일치를 통해 함께 중첩한 화면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DuraMap Viewer(SHP 파일 뷰어)의 힌트(Hint) 기능

GIS 관련 업무를 하다보면 업무에 사용할 데이터를 파악하는 일이 많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공간 데이터는 SHP입니다. 90년대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업계 표준처럼 활용되고 있는 파일 형식입니다. 이러한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제가 사용하는 툴은 DuraMap-Viewer입니다. 이 툴은 DuraMap-Xr이라는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개발된 툴로 라이선스 비용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툴입니다.

이 툴의 기능 중에 힌트(Hint) 기능이 있는데요. 이 기능은 각 레이어에 대해 어떤 설명과 같은 메모를 기록해 두는 기능입니다. 아래의 화면처럼 각 레이어마다 쉽게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지정이 되면 아래의 화면처럼 레이어 이름 옆에 힌트로 지정된 내용이 항상 표시됩니다. 아울러 마우스를 레이어 명 위에 놓으면 ToolTip 처럼 표시되기도 합니다.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위한 기능입니다. 참고로 듀라맵뷰어는 앞서도 언급했듯 상업적인 목적에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툴입니다. 속성 데이터도 쉽게 살펴볼 수 있고, 상당히 큰 대용량의 SHP 파일도 거뜬이 읽어 표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