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소를 좌표로, GeoCoder-Xr with Kakao, Naver, Google ㅡ 2016, v3.2

개 선 내 용

  • 최신 OpenAPI 반영 및 OpenAPI Key 값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ㅡ 2016/01/03
  • 결과 SHP 파일을 상대경로로 지정할 경우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였습니다 ㅡ 2013/12/09
  • 지도 표시 창이 나타날때 다운되는 현상 제거하였습니다 ㅡ 2013/06/10

옛날 주소 또는 새주소를 X,Y나 경위도와 같은 좌표로 변환해 주는 기능을 지오코딩(Geocoding)이라고 합니다. 이 툴은 주소를 좌표로 변환해 주는 툴로써 기존의 GeoCoder의 기능을 개선한 버전(3.0)입니다. 많은 주소를 자동으로 손쉽게 변환할 수 있는데, 변환하고자 하는 주소의 목록은 엑셀을 통해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은 컴마(,)로 구분된 입력 데이터를 엑셀에서 불러온 것입니다. 엑셀에서 만들어진 주소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를 CVS 형식으로 저장하게 되면 바로 좌표로 변환할 수 있는 입력 데이터가 됩니다. 입력 데이터는 반드시 첫줄에 필드명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결과 좌표 데이터를 SHP 뿐만 아니라 텍스트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결과 좌표는 지도 위에 표시됩니다. 변환에 실패한 주소(일반적으로 잘못된 주소임)를 별도의 파일로 저장해 놓을 수 있습니다. 이는 텍스트 파일로 저장하기 옵션이 활성화 되어 있을 경우에 가능합니다.

엑셀 등을 통해 얻은 주소 데이터를 아래의 그림에서처럼 불러와 좌표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주소값에 대한 필드를 반드시 지정해야 합니다.
아래의 그림은 OnSpatial에서 제공하는 우리나라 전국의 관공서에 대한 주소목록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좌표 변환이 완료되면 변환된 좌표가 실제 지도 상에 어디에 분포되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아래 그림처럼 지도 위에 맵핑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기능은 좌표 변환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나타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또한 지도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단에 직접 주소를 입력하고 찾기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위치로 지도가 이동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프로그램에서 주소를 좌표로 변환하는 기능은 네이버, 다음, 구글의 OpenAPI를 활용하였습니다.  OpenAPI는 Key 방식의 라이센스를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기본적인 라이센스 키를 가지고 작동되지만 혹… 작동상에 문제가 있을 경우 라이센스 키를 발급받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OpenAPI에 대한 키(라이선스)를 받기 위한 방법은 아래 URL을 통해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SHP 파일로 저장하기와 지도 표현 기능은 지오서비스의 듀라맵을 이용하였으므로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에 앞서 듀라맵의 최신버전(3.8 이상)을 먼저 설치하셔야 합니다. 듀라맵은 다음 URL을 통해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끝으로 이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파일은 다음 URL을 통해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압축이 풀리지 않을 경우 AlZip이나 7Zip과 같은 전용 압축 프로그램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해 보시고.. 문제점이나 개선점 그리고 궁금하신 것은 언제든 메일을 통해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DuraMap-Xr의 SpatialOperator를 이용한 공간연산 응용예

DuraMap-Xr은 Windows 기반의 Desktop GIS Application 개발을 위한 맵 엔진입니다. DuraMap-Xr의 기능 중 SpatialOperator 기능은 벡터 데이터 간의 Intersects나 Intersection과 같은 API와 단일 벡테 데이터의 Buffer 연산자와 같은 API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연산자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기능에 DuraMap-Xr이 활용되었는데요. 간단히 소개해 봅니다.

위의 그림은 건물 레이어와 홍수범람에 대한 하천 레이어 그리고 행정구역도 레이어로 구성된 간단한 지도입니다. 건물 레이어의 건물 도형 데이터에는 인구수에 대한 속성 데이터가 조인되어 있습니다. 건물 중 홍수범람에 대한 하천 레이어의 도형과 교차(Intersects)되는 건물을 추출하고 추출된 건물에 거주하는 인구수의 총합을 계산해야 합니다. 바로 이 인구수가 홍수에 의한 피해 인구수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위의 UI는 위에서 설명한 기능에 대해 실제 구현한 UI입니다. 홍수피해의 결과로 4006명이 산출되었고, 피해를 받은 건물은 result.shp 파일로 저장되도록 하였습니다.

위의 이미지에서 빨간색 도형이 기능에 대한 결과로 생성된 홍수 피해를 받은 건물에 대한 레이어어 입니다. 이미지를 살펴보면, 건물이 하천 경계 도형으로 클리핑(Intersection) 처리 되어 저장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DuraMap-Xr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지도 위에 도형 매쉬업이라는 단순한 기능에서 한발 더 나아가 각 도형들간의 관계와 연산을 통해 더욱 의미 있는 결과를 생성해 내는 GIS 엔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