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EPSG 코드

EPSG 코드는 전세계 좌표계 정의에 대한 고유한 명칭입니다. EPSG 코드에 대한 상세 정의는 prj4와 wkt라는 문자열로 되어 있으며, proj4와 EPSG의 wkt는 좌표계의 다양한 제원값을 정해진 문자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EPSG.io 라는 사이트를 통해 각 EPSG 코드에 대한 proj4와 wkt 문자열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글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아래는 대한민국에서 자주 사용하는 EPSG 코드에 대한 proj4 문자열을 정리한 것입니다.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내용을 추가/보완하도록 할 것입니다.

EPSG:4166, ESPG:4326

Plain text
Copy to clipboard
Open code in new window
EnlighterJS 3 Syntax Highlighter
+proj=longlat +ellps=WGS84 +datum=WGS84 +no_defs
+proj=longlat +ellps=WGS84 +datum=WGS84 +no_defs
+proj=longlat +ellps=WGS84 +datum=WGS84 +no_defs 

WGS84 타원체의 경위도 좌표계입니다. 흔히 GPS 등의 기본 좌표계입니다.

EPSG:2097

Plain text
Copy to clipboard
Open code in new window
EnlighterJS 3 Syntax Highlighter
+proj=tmerc +lat_0=38 +lon_0=127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proj=tmerc +lat_0=38 +lon_0=127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proj=tmerc +lat_0=38 +lon_0=127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Bessel 1841 타원체의 한국 중부원점 TM 직각 좌표계입니다.

EPSG:5174

Plain text
Copy to clipboard
Open code in new window
EnlighterJS 3 Syntax Highlighter
+proj=tmerc +lat_0=38 +lon_0=127.0028902777778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proj=tmerc +lat_0=38 +lon_0=127.0028902777778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proj=tmerc +lat_0=38 +lon_0=127.0028902777778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일본의 기준점으로 끌어다 사용했다는 (개인적으로 사실이라고 해도 믿고 싶지 않지만?) 좌표계로, 일본에 지진이 발생하여 해당 기준점이 틀어진 만큼 보정된 좌표계입니다. 타원체는 Bessel 1841이며 TM 직각좌표계입니다. 폐기해야할 좌표계입니다. 개인적으로는 Bessel 타원체를 사용하는 모든 좌표계는 폐기하고 범세계적으로 GRS80 타원체로 통일해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ESPG:5178

Plain text
Copy to clipboard
Open code in new window
EnlighterJS 3 Syntax Highlighter
+proj=tmerc +lat_0=38 +lon_0=127.5 +k=0.9996 +x_0=1000000 +y_0=20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proj=tmerc +lat_0=38 +lon_0=127.5 +k=0.9996 +x_0=1000000 +y_0=20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proj=tmerc +lat_0=38 +lon_0=127.5 +k=0.9996 +x_0=1000000 +y_0=20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Bessel 1841 타원체의 UTM-K 직각 좌표계입니다.

EPSG:5179 – 네이버 지도에서 사용함

Plain text
Copy to clipboard
Open code in new window
EnlighterJS 3 Syntax Highlighter
+proj=tmerc +lat_0=38 +lon_0=127.5 +k=0.9996 +x_0=1000000 +y_0=2000000 +ellps=GRS80 +units=m +no_defs
+proj=tmerc +lat_0=38 +lon_0=127.5 +k=0.9996 +x_0=1000000 +y_0=2000000 +ellps=GRS80 +units=m +no_defs
+proj=tmerc +lat_0=38 +lon_0=127.5 +k=0.9996 +x_0=1000000 +y_0=2000000 +ellps=GRS80 +units=m +no_defs

GRS80 타원체의 UTM-K 직각 좌표계입니다. 네이버(v3)와 도로명주소 DB에서 사용하는 좌표계입니다.

ESPG:5181 – 카카오맵에서 사용함

Plain text
Copy to clipboard
Open code in new window
EnlighterJS 3 Syntax Highlighter
+proj=tmerc +lat_0=38 +lon_0=127 +k=1 +x_0=200000 +y_0=500000 +ellps=GRS80 +units=m +no_defs
+proj=tmerc +lat_0=38 +lon_0=127 +k=1 +x_0=200000 +y_0=500000 +ellps=GRS80 +units=m +no_defs
+proj=tmerc +lat_0=38 +lon_0=127 +k=1 +x_0=200000 +y_0=500000 +ellps=GRS80 +units=m +no_defs

GRS80 타원체의 한국 중부원점이며 Y 축으로 500000미터만큼 이동시킨 좌표계입니다. 카카오 맵에서 사용하는 좌표계입니다.

EPSG:5186

Plain text
Copy to clipboard
Open code in new window
EnlighterJS 3 Syntax Highlighter
+proj=tmerc +lat_0=38 +lon_0=127 +k=1 +x_0=200000 +y_0=600000 +ellps=GRS80 +units=m +no_defs
+proj=tmerc +lat_0=38 +lon_0=127 +k=1 +x_0=200000 +y_0=600000 +ellps=GRS80 +units=m +no_defs
+proj=tmerc +lat_0=38 +lon_0=127 +k=1 +x_0=200000 +y_0=600000 +ellps=GRS80 +units=m +no_defs

GRS80 타원체의 한국 중부원점이며 Y 축으로 600000미터만큼 이동시킨 좌표계입니다. 국가에서 제공하는 DXF나 NGI 형식의 공간데이터가 이 좌표계를 이용합니다. 중부원점이외에도 서부, 동부, 동해원점이 있으며 각각 EPSG:5185, EPSG:5187, EPSG:5188입니다.

EPSG:3857, EPSG:900913, EPSG:102113 – 네이버(v5), 구글맵, VWorld지도에서 사용함

Plain text
Copy to clipboard
Open code in new window
EnlighterJS 3 Syntax Highlighter
+proj=merc +a=6378137 +b=6378137 +lat_ts=0.0 +lon_0=0.0 +x_0=0.0 +y_0=0 +k=1.0 +units=m +nadgrids=@null +no_defs
+proj=merc +a=6378137 +b=6378137 +lat_ts=0.0 +lon_0=0.0 +x_0=0.0 +y_0=0 +k=1.0 +units=m +nadgrids=@null +no_defs
+proj=merc +a=6378137 +b=6378137 +lat_ts=0.0 +lon_0=0.0 +x_0=0.0 +y_0=0 +k=1.0 +units=m +nadgrids=@null +no_defs

구글맵, VWorld 지도에서 사용하는 좌표계입니다. TM 방식의 좌표계가 아니므로 거리 측정에 사용할 수 없는 좌표계입니다.

아울러 아래의 글은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좌표계 라이브러리에 대한 설명입니다.

끝으로 앞서 언급한 몇가지 EPSG 코드에 대한 .prj 파일을 공유합니다.


NexGen, 웹 GIS에서 로컬 데이터 파일 활용

웹기반의 GIS 시스템은 지도탐색, 주소검색, 길찾기 등과 같은 매우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며 인터넷이 되는 환경이라면 쉽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다 높은 수준의 GIS 기능을 원하는 전문 사용자나 특화된 업무를 GIS에 접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는 많이 부족합니다.

이러한 사용자들이 느끼는 웹 GIS 기능의 결핍은 웹 GIS 보다는 여전이 QGIS나 ArcGIS 등과 같은 Application 형태의 GIS 프로그램들을 선택하게 합니다. 하지만 웹 GIS는 Desktop GIS가 갖지 못하는 장점을 제공합니다. 설치 없이 URL을 통해 바로 접속해 사용할 수 있다는 편의성,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완벽하고 아름다운 배경맵, 완벽한 주소검색과 길찾기 등의 기능은 사용자가 별도의 설정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웹 GIS의 단점은 서버 측에서 제공하지 않은 데이터의 사용에 큰 제약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서, 사용자가 자신만의 노하우가 반영된 의미있고 유용한 결과를 공간 데이터 파일로 제작했다면, 이 공간 데이터 파일을 웹 GIS의 배경지도에 중첩해 보고, 다양한 편의 기능에 적용하여 활용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요구사항은 웹 GIS의 기능성에 비례하여 커집니다.

만약 사용자가 QGIS, ArcGIS 또는 공간 분석 툴을 이용해 생성한 공간 데이터 파일을 웹 GIS에서 완벽하게 활용할 수 있다면 앞서 언급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은 상당 부분 충족될 것입니다. 바로 웹 GIS 기반 시스템인 NexGen은 사용자가 자신의 로컬 PC에 저장된 공간 데이터 파일을 바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사용자가 보유한 SHP 파일들을 NexGen의 배경지도 위에 중첩하고 그리기 심벌과 라벨 들을 설정하는 예를 시연하고 있습니다.

위의 예는 단순히 SHP 파일을 통한 지도 구성 정도의 데모이지만, SHP 파일을 활용할 수 있음으로 해서 SHP 파일이 제공하는 공간 데이터를 웹 GIS에서 제공하는 다른 기능과 융합하여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덧붙여 아래의 글은 외부 파일로 CSV를 통한 통계지도를 저작하는 NexGen의 기능 소개입니다.

넥스젠(NexGen)의 통계지도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