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 Korea 2007에서 GeoGraph 발표

6월 13일부터 15일까지 양재동의 AT센터에서 GIS Korea 2007이 열렸습니다. 회사 연구소에서 GIS Korean 2007에서 발표했던 제품중 새로운 제품 두개가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바로 제가 담당한 GeoGraph입니다. 웹에서 작동하는 방식으로 시연을 했고 회사 부사장님의 강력한 추진력으로 시연 당일 아침에 터치스크린 장치에서 시연해 시연 효과를 높였습니다. 아래는 대회에서 일반 대중에게 처음으로 공개되어져 시연된 GeoGraph를 이용해 만든 데모의 스크린샷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래는 웹 페이지에서 구현된 GeoGraph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GIS 솔루션의 첫 페이지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좀더 선명한 이미지를 보길 원한다면 해당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됩니다. 간단이 설명하면, 통계정보나 분석된 결과 데이터를 지도위에 다양한 차트나 표, 이미지 등과 같이 사용자가 좀더 효과적으로 정보를 이해시킬 수 있는 프리젠테이션 GIS 솔루션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끝으로 위의 사진은 GIS Korea 2007의 신기술 발표회에서 GeoGraph를 내용으로 발표했던 제 모습입니다. ^^V

동적화소변화율을 고려한 움직이는 물체검출

지난주에 OpenCV를 이용해 화상카메라로부터 영상을 받아, 움직이는 물체를 검출해 보는 코드를 작성해 보았는데, 여기에 자동으로 움직이는 물체가 있을 시에 그 영상을 캡춰받아 자동으로 저장하도록 해보았다.

회사에서 퇴근하는 아무개님(초상권을 위해 모자이크 처리 ㅡㅡ;)
문제는 영상에서 움직이는 물체가 있는지 없는지의 기준이 필요한데, 그 기준을 동적화소변이율을 사용하였다. 동적화소변이율은 영상을 구성하고 있는 전체 화소값(0~255)에서 변화된 화소값의 차이를 다시 백분율로 계산한 것이다. 이 동적화소변화율은 그냥 어찌 저찌 해서 직접 만들어낸 공식이므로 영상관련 책을 암만… 찾아봐도 않나온다. ㅡ_ㅡ; 그래서 자세한 수식을 제시하면…

동적화소변이율=((모든 바뀐 픽셀 차이값의 합)/(영상을 구성하는 픽셀수*255))*100

사용하고 있는 화상카메라를 기준으로 했을때 동적화소변이율이 0.5% 미만일 경우 화면상에 움직이는 물체가 없다고 판단했을때 정확히 일치했다. 그리고 0.5이상일때부터 영상에 움직이는 물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가 1% 이상일때 움직이는 물체가 화면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였다. 동적화소변이율이 1%일때의 영상을 날짜와 시간을 파일명으로 해서 저장하도록 했다.

다음 단계는 움직이는 물체가 “누구(Who)”인지를 자동으로 판별해 내는 것..! 두둥~! 이를 위해 필요한 알고리즘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