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World의 지오코딩 API 사용 코드

VWorld에서 제공하는 지오코딩 OpenAPI는 하루에 최대 3만건까지 자유롭게 변환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VWorld의 지오코딩 API를 사용하는 코드입니다.

async function geocoding(url) {
    const req = await fetch(url);
    return req.json();
}

async function doGeocoding(address) {
    const result = await geocoding("http://api.vworld.kr/req/address?service=address"
        + "&request=getcoord"
        + "&address=" + encodeURI(address) + "&type=road"
        + "&key=##09F585-13##-38##-##36-####6A0C####");

    console.log(result);
}

doGeocoding('서울시 성동구 아차산로7나길 18');

실행 결과는 JSON 형식으로 다음과 같이 콘솔에 표시됩니다.

VWorld의 지오코딩 API는 입력한 주소가 도로명 주소인지 지번 주소인지를 명확히 지정해줘야 합니다. 즉, 호출 URL에 type에 road와 parcel을 지정해야 하며 각각 도로명주소 및 지번주소를 의미합니다. 추후에는 이러한 주소에 대한 구분을 사람이 직접 구분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없기를 기대합니다.

모바일 넥스젠의 공간 데이터 편집 시 자르기(Split)와 병합하기(Merge)

모바일 NexGen은 모바일 GIS 솔루션으로 공간 데이터 편집이 가능하며 기본적인 공간 데이터 편집 기능 외에도 공간 데이터를 자르거나 병합하는 등의 고급 편집 기능도 제공합니다. 아래의 동영상은 하나의 폴리곤을 원하는 형상을 갖도록 자르고 병합하는 공간 편집 기능에 대한 소개입니다.

아래는 글은 모바일 넥스젠의 기본적인 공간 데이터 편집에 대한 소개입니다.

모바일 넥스젠의 공간 데이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