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달라붙는 로봇” 발명자 김상배

김상배씨는 아버지에 대한 기억이 없다. 한양대 법정대 교수였던 아버지 김원국씨는 김씨가 태어난지 두달 만에 숨졌다. 친구들과 승용차로 여행을 가다가 경기도 이천의 국도에서 마주오던 버스와 충돌한 것이다. 그래서 그는 형과 함께 홀어머니 슬하에서 자랐다.

그로부터 31년이 지난 현재 김씨는 미국의 스탠퍼드대 기계공학과에서 박사과정을 밟고있다. 내년이면 학위를 받게된다. 연세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도미한지 5년 만이다.

김씨는 요즘 유명세로 밤잠을 설친다. 그가 개발한 도마뱀 로봇 때문이다.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에 소개된 뒤 지난달 포브스지에 기사가 실렸고 13일자 타임지에 ‘올해 최고의 발명품’ 44개 중 하나로 선정돼 언론매체의 인터뷰 요청이 쇄도하고 있다. 내년 초에는 그와 그의 발명품이 PBS의 특별 프로그램에도 소개된다.

그의 도마뱀 로봇은 유리벽을 수직으로 올라갈 수 있어 ‘스티키봇(Stickybot)’으로도 불린다. ‘달라붙는 로봇’이란 의미다. 김씨는 “한번 달라붙으면 절대 떨어지지 않으면서 발걸음을 옮길 때면 너무나 사뿐하게 움직이는 도마뱀의 발바닥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말했다. 스티키봇의 발바닥은 미세한 섬유조직으로 이뤄져있다. 털모양 섬모의 끝부분은 한 방향 만을 보게끔 경사지게 처리됐다. 섬모의 끝부분이 접지된 상태에서 경사면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마찰력이 엄청나게 커지기 때문에 유리벽에서도 떨어지지 않고 지탱할 수 있다. 대신 반대편으로 잡아당기면 손쉽게 떼어낼 수 있는 원리다.

김씨는 스티키봇에 대해 특허출원을 마친 상태다. 포스트잇과 같은 메모 용지 등에 스티키봇의 아이디어를 접목시키면 엄청난 시장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는 지난해 개발한 재난구조용 로봇 등 모두 4건의 특허를 갖고있다.

창의력이 어디서 나오는지 궁금했다. 그는 “아버지가 안계셔서 대부분의 결정을 혼자 내리는데 익숙하다 보니 남들보다 여러가지 생각을 하는 습관이 몸에 배었다”고 답했다. 형 상필씨는 현재 미국 퍼듀대 산업공학과에서 박사과정을 밟고있다. 이들 형제의 뒤에는 항상 자식 생각만 하는 어머니가 있다. 서울 합정동에서 홀로 지내는 어머니 이영애씨는 “상배는 어렸을 때 장난감 비행기 대회에 나가 1등을 하는 등 손재주와 창의력이 뛰어났다”며 “하늘에 계신 아버지도 매우 흡족해 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미디어다음, media.daum.net

[여행] 제부도

날짜는 10월 14일. 대학교 시절에 같은 학교울타리에 있다가, 몇년전에 나는 서울로, 하나는 대전으로.. 또 하나는 경기도 화성으로 각자의 길을 찾아 떠났던 친구들.. 지난 추석때 모두 함께 만나지 못하다가, 어쩐일로 모이게 되어 떠난 제부도 여행. 제부도 조개가 유명하다고 해서 갔다..








조개를 케는 사람들도 제법 있었고, 연인.. 가족들과 나들이 나오신 분들도 많았고.. 주말이라 많은 사람들로 붐볐다. 서로 자기집에서 조개구이를 먹으라고 문앞에서 호객행위를 하는 환하게 웃으며 우스꽝스러운 행동을 하던 아저씨들. 사람들이 그냥 지나가면 한마디 뱃는데.. ㅅㅂㄹㅁ라고.. 똑똑히 봤어요.. ㅡ_ㅡ ㅅㅂㄹㅁ!

조개는 실망. 니가 정녕 제부도 조개냐.. 그냥 저기 앞바다 조개냐.. 묻고 싶었다. 서울 신림에서 먹었던 조개구이보다 별로였다. 너도 중국산이냐? 조개구이 맛에 대한 아쉬움을 뒤로 하고 돌아오는 길의 순대국밥은 정말 맛있었다. 오던 길에 도로에서 산 포도도 맛있었고…

처음 출발때 약속 시간을 지키지 못하고 늦어, 친구들에게 너무 미안했었다.. 찍고 싶었던 갈매기는 못찍었지만, 집에서 몇년 묶은 디카를 꺼내들었고, 오랜만에 쏘인 바다바람과 날씨까지 좋았고.. 친구들과 오랜만에 모여 기분 좋은 여행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