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원하는 장면을 아래의 예시처럼 구성합니다.
카메라를 장면의 중심(대부분 원점)에 배치하고 회전 값을 다음처럼 설정합니다.
카메라의 속성을 다음처럼 지정합니다. 아래의 속성 구성(Panorama Type)을 위해서 렌더링은 Cycles로 지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출력(Output) 속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Resolution을 변경했으며 File Format 역시 변경했습니다.
공간정보시스템 / 3차원 시각화 / 딥러닝 기반 기술 연구소 @지오서비스(GEOSERVICE)
먼저 원하는 장면을 아래의 예시처럼 구성합니다.
카메라를 장면의 중심(대부분 원점)에 배치하고 회전 값을 다음처럼 설정합니다.
카메라의 속성을 다음처럼 지정합니다. 아래의 속성 구성(Panorama Type)을 위해서 렌더링은 Cycles로 지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출력(Output) 속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Resolution을 변경했으며 File Format 역시 변경했습니다.
아래와 같은 복잡한 계단 난간을 모델링할때 난간 벽면과 바닥에 대한 철재 부분의 세밀한 부분도 모두 모델링한다면 매우 많은 정점과 면으로 구성된 모델이 나올 것이고 이를 웹에서 인터렉티브하게 시각화할 경우 속도 측면에서 그 효율성은 매우 떨어질 것입니다.
위의 모델에 대한 최적화된 모델링을 위해서는 먼저 계단 난간의 벽면과 바닥에 대해 매우 세밀한 모델링을 다음처럼 구축합니다.
그리고 위의 벽면과 바닥에 대한 텍스쳐를 2개 베이킹하는데요. 하나는 노말맵 또 하나는 알파맵입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모델에 위의 텍스쳐를 맵핑 시킵니다.
맵핑은 다음과 같은 쉐이더 노드로 구성합니다.
위의 쉐이더 노드 구성 시에 Blend Mode를 Alpha Clip으로 지정해서 알파값에 대한 임계값(Clip Threshold)을 직접 지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간단하게 Eevee로 렌더링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