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오서비스웹(GEOSERVICE-WEB) 기능 별 메뉴얼

주소를 좌표로 변환하는 지오코딩

(참고) 엑셀을 CSV로 변환할 필요 없이 바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더 이상 번거롭게 CSV로 변환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는 다른 모든 기능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영상보다 이미지와 글이 편한 분들은 아래를 참조해 주세요.

주소 데이터를 지도에 표시하고 싶다구요! (지오코딩)

지오코딩 결과를 QGIS의 배경지도와 중첩 예시

지오코딩 결과를 QGIS의 TMS for Korea 배경지도에 맵핑

좌표를 주소로 변환하는 리버스 지오코딩

SHP 데이터를 CSV로 변환(지오코딩 결과를 텍스트 파일로 저장)

SHP 파일로부터 레이어 구성

밀도 분석

히트맵 분석

지점 간 거리 분석

헥사곤 도형 생성

포인트 카운트 분석

색상단계 구분도 분석

배경지도 변경

GEOSERVICE-WEB의 배경지도 변경

폴리라인을 포인트로 변경

라인을 포인트로 변경 (Line To Point)

새로운 공간 데이터 생성

공간/속성 데이터 구축(편집)

공간/속성 데이터 구축(편집)

지오서비스웹 공간/속성 데이터 편집

정밀한 지오코딩 결과 만들기 (편집 기능 활용)

내가 원하는 지역에 대한 최신 행정구역 데이터(SHP 파일) 추출

티센 폴리곤 생성

내가 원하는 지역에 대한 최신 행정구역을 SVG 파일로 생성하기

행정구역도 SVG 생성 및 파워포인트에서 활용하기

GEOSERVICE-WEB의 밀도도 기능 소개

정확히 작년 8월 1일 GEOSERVICE-WEB이 일반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지오서비스웹(GEOSERVICE-WEB)

오로지 지오코딩 기능 하나만을 탑재하고 말입니다. 처음 서비스를 시작으로 300일을 넘어 단 하루도 멈추지 않고 서버가 뜨겁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GEOSERVICE-WEB에 다양한 공간정보에 대한 기능이 추가로 제공될 예정인데요. 그간 파악했던 사용자의 니즈를 반영한 기능들을 중심으로 말입니다.

아래는 그중 공간 데이터 분석 기능 중 밀도도를 GEOSERVICE-WEB에서 만든 결과입니다.

GEOSERVICE-WEB이 추구하는 방향은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웹에서 공간 데이터를 새롭게 생성하거나 쉽게 편집하고 공간데이터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는데 있습니다.

아래는 위의 밀도도를 작성하기 위해서 실제 GEOSERVICE-WEB의 기능 사용에 대한 동영상입니다.

추가로 서울시 전체에 대한 인구 밀도도입니다. 데이터에 따라 만들어진 밀도도로 실제 서울시 인구 밀도도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