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과 OpenCV – 18 : 이미지의 등치선(Contours) – 4/5

이 글의 원문은 https://opencv-python-tutroals.readthedocs.io/en/latest/py_tutorials/py_imgproc/py_contours/py_contours_more_functions/py_contours_more_functions.html#contours-more-functions 입니다.

등치선에 대한 볼록껍질(Convex Hull) 연산에서 오목한 부분(즉, 블럭한 부분에 대한 결합)을 발견하는 함수와 등치선으로 만들어지는 도형(또는 객체)와 임이의 포인트에서의 거리를 구하는 함수, 마지막으로 객체간의 유사성 정도를 하나의 값으로 특정하는 함수에 대해 정리합니다.

먼저 볼록 껍질 연산에서 오목한 부분을 식별하는 예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import numpy as np
import cv2
 
img = cv2.imread('./data/thunder.png')
imgray = cv2.cvtColor(img,cv2.COLOR_BGR2GRAY)
ret,thresh = cv2.threshold(imgray,127,255,0)
image, contours, hierarchy = cv2.findContours(thresh,cv2.RETR_TREE,cv2.CHAIN_APPROX_SIMPLE)
 
cnt = contours[0]
hull = cv2.convexHull(cnt,returnPoints = False)
defects = cv2.convexityDefects(cnt,hull)

print(defects)

for i in range(defects.shape[0]):
    s,e,f,d = defects[i,0]
    start = tuple(cnt[s][0])
    end = tuple(cnt[e][0])
    far = tuple(cnt[f][0])
    cv2.line(img,start,end,[0,255,0],2)
    cv2.circle(img,far,5,[0,0,255],-1)

cv2.imshow('img', img)
cv2.waitKey()
cv2.destroyAllWindows()

결과는 아래와 같은데요..

작은 빨간 원으로 표시되는 부분이 볼록껍질 연산에 있어서 오목한 부분으로 식별된 지점입니다. 그리고 초록색선은 오목한 지점에 대해 볼록하게 처리된 선분입니다.

등치선으로 구성된 객체에 대해 어떤 좌표에서의 거리를 얻는 예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dist = cv2.pointPolygonTest(cnt,(50,50),True)

위의 예제는 (50,50) 좌표에서 등치선까지의 거리를 얻습니다. 등치선으로 구성된 도형의 내부에 포인트 좌표(여기서는 50,50)이 존재하면 양수가, 밖에 존재하면 음수가, 등치선 상에 정확이 위치하면 0인 거리가 반환됩니다. pointPolygonTest 함수의 세번째 인자는 True인데, 이를 False로 지정하면 거리값이 아닌 -1, 0, 1 중 하나의 값이 반환됩니다. 이값들은 각각 도형의 외부, 경계, 내부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부호값입니다.

마지막으로 도형에 대해 유사성을 하나의 수치값으로 특정할 수가 있는데, 예제를 살펴보면..

import numpy as np
import cv2

img1 = cv2.imread('./data/shapes/1.png')
img1 = cv2.cvtColor(img1,cv2.COLOR_BGR2GRAY)

img2 = cv2.imread('./data/shapes/2.png')
img2 = cv2.cvtColor(img2,cv2.COLOR_BGR2GRAY)

ret, thresh1 = cv2.threshold(img1, 127, 255,0)
ret, thresh2 = cv2.threshold(img2, 127, 255,0)

_, contours,hierarchy = cv2.findContours(thresh1,2,1)
cnt1 = contours[0]

_, contours,hierarchy = cv2.findContours(thresh2,2,1)
cnt2 = contours[0]

ret = cv2.matchShapes(cnt1,cnt2,1,0.0)
print(ret)

위의 예제는 1.png 파일과 2.png 파일에 대한 등치선을 추출하고 이 등치선으로 구성된 도형에 대한 유사성을 하나의 값으로 특정하는 예제입니다. 입력 이미지 파일이 아래와 같은데요. 파일명만 표시하고 확장자인 png는 생략되었습니다.

1.png 파일에 대해 나머지 파일들에 대한 유사성 값을 위의 코드를 통해 출력해보면 각각 아래와 같습니다.

1.png와 2.png 간의 cv2.matchShapes 반환값 = 0.16
1.png와 3.png 간의 cv2.matchShapes 반환값 = 14.1
1.png와 4.png 간의 cv2.matchShapes 반환값 = 0.11
1.png와 5.png 간의 cv2.matchShapes 반환값 = 0.26
1.png와 6.png 간의 cv2.matchShapes 반환값 = 0.26
1.png와 7.png 간의 cv2.matchShapes 반환값 = 0.32
1.png와 8.png 간의 cv2.matchShapes 반환값 = 0.32
1.png와 9.png 간의 cv2.matchShapes 반환값 = 0.17
1.png와 10.png 간의 cv2.matchShapes 반환값 = 0.005
1.png와 11.png 간의 cv2.matchShapes 반환값 = 1.03

Python과 OpenCV – 17 : 이미지의 등치선(Contours) – 3/5

이 글의 원문은 https://opencv-python-tutroals.readthedocs.io/en/latest/py_tutorials/py_imgproc/py_contours/py_contour_properties/py_contour_properties.html#contour-properties 입니다.

Contour(등치선)에 대해 자주 사용되는 몇가지 속성에 대해 좀더 살펴보겠습니다. 그 속성에는 Solidity, Equivalent Diameter, Mask image, Mean Intensity 등입니다.

먼저 Aspect Ratio인데, 객체(Contour를 표현되는 것)에 대한 경계상자의 높이와 너비에 대한 비율이며 아래와 같습니다.

OpenCV에서는 다음과 같은 코드를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x,y,w,h = cv2.boundingRect(cnt)
aspect_ratio = float(w)/h

다음은 Extent입니다. 이 속성은 경계상자의 넓이에 대한 객체의 실제 넓이의 비율입니다.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area = cv2.contourArea(cnt)
x,y,w,h = cv2.boundingRect(cnt)
rect_area = w*h
extent = float(area)/rect_area

다음은 Equivalent Diameter입니다. 이 속성은 객체의 실제 면적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 원의 지름입니다.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area = cv2.contourArea(cnt)
equi_diameter = np.sqrt(4*area/np.pi)

다음은 Solidity입니다. 이 값은 객체의 볼록껍질 면적에 대한 객체의 면적 비율입니다.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area = cv2.contourArea(cnt)
hull = cv2.convexHull(cnt)
hull_area = cv2.contourArea(hull)
solidity = float(area)/hull_area

다음은 Orientation입니다. 이 속성은 객체가 놓여진 방향에 대한 각도인데, 다음 식은 주축과 보조축으로써 표현한 코드 예로 angle 변수값이 각도입니다.

(x,y),(MA,ma),angle = cv2.fitEllipse(cnt)

다음은 Mask과 Pixel Points입니다. 어떤 경우에 객체를 구성하는 모든 포인트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다음 코드가 사용됩니다.

mask = np.zeros(imgray.shape,np.uint8)
cv2.drawContours(mask,[cnt],0,255,-1)
pixelpoints1 = np.transpose(np.nonzero(mask))
pixelpoints2 = cv2.findNonZero(mask)

pixelpoints1와 pixelpoints2는 동일한 결과인데, 각각 Numpy와 OpenCV를 사용한 방식입니다.

다음은 최대값, 최소값과 위치값입니다. 이 값들은 마스크 이미지를 사용해 얻을 수 있습니다.

mask = np.zeros(imgray.shape,np.uint8)
cv2.drawContours(mask,[cnt],0,255,-1)

min_val, max_val, min_loc, max_loc = cv2.minMaxLoc(imgray,mask = mask)

위의 1,2번 코드는 마스크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이 마스크 이미지는 최대, 최소값과 이 값들의 위치가 어디인지에 대한 범위를 제한하는데 사용됩니다. mask 이미지의 적용은 옵션입니다.

다음은 평균 색상과 평균 강도입니다. 마스크 이미지를 적용해 해당 마스크 이미지 범위에 존재하는 픽셀들의 평균색상 또는 평균강도 값을 얻는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mean_val = cv2.mean(im,mask = mask)

끝으로 Extreme Points입니다. 이 속성은 객체의 최상단, 최하단, 좌측끝단, 우측끝단의 포인트를 의미하는데, 먼저 코드를 보면..

import numpy as np
import cv2
 
img = cv2.imread('./data/thunder.png')
imgray = cv2.cvtColor(img,cv2.COLOR_BGR2GRAY)
ret,thresh = cv2.threshold(imgray,127,255,0)
image, contours, hierarchy = cv2.findContours(thresh,cv2.RETR_TREE,cv2.CHAIN_APPROX_SIMPLE)
 
cnt = contours[0]
 
leftmost = tuple(cnt[cnt[:,:,0].argmin()][0])
rightmost = tuple(cnt[cnt[:,:,0].argmax()][0])
topmost = tuple(cnt[cnt[:,:,1].argmin()][0])
bottommost = tuple(cnt[cnt[:,:,1].argmax()][0])

cv2.circle(img, leftmost, 10, (0,0,255), -1)
cv2.circle(img, rightmost, 10, (0,0,255), -1)
cv2.circle(img, topmost, 10, (0,0,255), -1)
cv2.circle(img, bottommost, 5, (0,255,255), -1)

cv2.imshow('img', img)
cv2.waitKey()
cv2.destroyAllWindows()

위의 코드 중 11-14번과 16-19번이 최상단, 최하단, 좌측끝단, 우측끝단의 포인트를 얻고 그려주는 코드입니다.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