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Gen, 웹 GIS에서 로컬 데이터 파일 활용

웹기반의 GIS 시스템은 지도탐색, 주소검색, 길찾기 등과 같은 매우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며 인터넷이 되는 환경이라면 쉽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다 높은 수준의 GIS 기능을 원하는 전문 사용자나 특화된 업무를 GIS에 접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는 많이 부족합니다.

이러한 사용자들이 느끼는 웹 GIS 기능의 결핍은 웹 GIS 보다는 여전이 QGIS나 ArcGIS 등과 같은 Application 형태의 GIS 프로그램들을 선택하게 합니다. 하지만 웹 GIS는 Desktop GIS가 갖지 못하는 장점을 제공합니다. 설치 없이 URL을 통해 바로 접속해 사용할 수 있다는 편의성,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완벽하고 아름다운 배경맵, 완벽한 주소검색과 길찾기 등의 기능은 사용자가 별도의 설정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웹 GIS의 단점은 서버 측에서 제공하지 않은 데이터의 사용에 큰 제약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서, 사용자가 자신만의 노하우가 반영된 의미있고 유용한 결과를 공간 데이터 파일로 제작했다면, 이 공간 데이터 파일을 웹 GIS의 배경지도에 중첩해 보고, 다양한 편의 기능에 적용하여 활용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요구사항은 웹 GIS의 기능성에 비례하여 커집니다.

만약 사용자가 QGIS, ArcGIS 또는 공간 분석 툴을 이용해 생성한 공간 데이터 파일을 웹 GIS에서 완벽하게 활용할 수 있다면 앞서 언급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은 상당 부분 충족될 것입니다. 바로 웹 GIS 기반 시스템인 NexGen은 사용자가 자신의 로컬 PC에 저장된 공간 데이터 파일을 바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사용자가 보유한 SHP 파일들을 NexGen의 배경지도 위에 중첩하고 그리기 심벌과 라벨 들을 설정하는 예를 시연하고 있습니다.

위의 예는 단순히 SHP 파일을 통한 지도 구성 정도의 데모이지만, SHP 파일을 활용할 수 있음으로 해서 SHP 파일이 제공하는 공간 데이터를 웹 GIS에서 제공하는 다른 기능과 융합하여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덧붙여 아래의 글은 외부 파일로 CSV를 통한 통계지도를 저작하는 NexGen의 기능 소개입니다.

넥스젠(NexGen)의 통계지도 기능

넥스젠(NexGen)의 지오코딩(Geocoding) 기능

NexGen에서 제공하는 지오코딩 기능을 소개합니다. 지오코딩을 통해 주소를 좌표로 변환하여 원하는 심벌로 지도에 표시할 수 있는데요. 넥스젠에서는 지오코딩을 통해 변환된 공간 데이터는 기본적인 수치지도 레이어와 동일하게 라벨 등과 같은 모든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NexGen의 지오코딩 기능에 대한 소개 동영상입니다.

넥스젠의 지오코딩 기능은 사용이 심플하지만 그 어떤 GIS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지오코딩 보다 직관적이고 강력합니다. 넥스젠의 지오코딩은 이미 2014년부터 현재까지 매우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있는, Geocoder-Xr의 기반 서비스를 그대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주소 좌표 변환 툴, Geocoder-Xr

NexGen의 지오코딩은 항상 최신 주소 DB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신 주소 DB를 통해 변환된 위치를 최신의 배경지도 위에 중첩할 수 있습니다. 이제 NexGen을 통해 웹에서도 바로 지오코딩을 하고, 지도 상에서 빠르게 시각화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