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XML 파서, CMarkup

XML 데이터를 쓰고 읽기 위해서 인터넷을 검색하던 차에 속도를 강점으로 내세우면서 STL 만을 사용하여 플랫폼 이식에도 뛰어난 오픈소스를 찾았는데요. 바로 CMarkup 입니다. 다운로드 사이트는 http://www.firstobject.com/ 이구요. 사용해 보니 XML의 charset도 지원하여 더욱 믿음이 가는 오픈소스였습니다. XML을 처리할 일이 있다면 한번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추후 이 오픈소스를 다시 사용할 때를 대비하여 사용 방법을 정리해 정리차원에서 올려봅니다.

컴파일 시 주의할 사항은… CMarkup은 MFC의 CString와 STL의 string에 대한 문자열 타입을 사용하며 기본적으로 CString을 사용합니다. 플랫폼에 독립적인 구성을 위해서 STL을 사용하는것이 좋기 때문에 전처리에서 MARKUP_STL를 정의해줘야 합니다. 이 전처리 정의는 프로젝트의 속성 페이지에서 해줌으로써 전역적으로 적용되도록 해야 합니다. 아래의 코드는 XML을 쓰는 예제 코드입니다. 윈도우즈 계열의 개발툴인 VS2008로 작성했습니다.

#include "stdafx.h"
#include "../Markup.h"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CMarkup xml;

    xml.AddElem( "ORDER" );
    xml.AddChildElem( "ITEM" );
    xml.IntoElem();
    xml.AddAttrib("type", "A");
    xml.AddChildElem( "SN", "132487A-J" );
    xml.AddChildElem( "NAME", "crank casing" );
    xml.AddChildElem( "QTY", "1" );
    xml.OutOfElem();

    xml.AddChildElem( "ITEM" );
    xml.IntoElem();
    xml.AddAttrib("type", "C");
    xml.AddChildElem( "SN", "434417F-Y" );
    xml.AddChildElem( "NAME", "kully casing" );
    xml.AddChildElem( "QTY", "2" );
    xml.OutOfElem();

    std::string csXML = xml.GetDoc();

    printf("%s", csXML.c_str());

    return 0;
}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ddElement를 통해 엘리먼트를 만들고, 해당 엘리먼트의 자식을 추가하기 위해 AddChildElem을 사용하거나 먼저 IntoElem을 호출한 후 다시 AddElement를 사용합니다.

이제 반대로 위와 같은 XML 데이터를 읽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위의 결과를 파일로 저장해 놓고 그 파일을 읽어 데이터를 추출하는 예제를 들어 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템(ITEM)의 이름(NAME)과 수량(QTY)을 읽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XML 문자열의 경우 아이템의 개수는 총2개이므로 2개가 검색될 것입니다. 다음이 이 예제와 부합되는 코드입니다.

CMarkup xml;
xml.Load("d:/data.xml");

while ( xml.FindChildElem("ITEM") )
{
    xml.IntoElem();

    xml.FindChildElem( "NAME" );
    std::string csSN = xml.GetChildData();
    xml.FindChildElem( "QTY" );
    int nQty = atoi(xml.GetChildData().c_str());

    xml.OutOfElem();

    printf("%s, %d\n", csSN.c_str(), nQty);
}

먼저 XML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파일을 Load 매서드를 이용해 읽습니다. 다시 반복문을 사용하여 루트 엘리먼트의 자식 ITEM 엘리먼트를 검색하기 위해 FindChildElem을 사용합니다. 그러면 해당되는 자식 엘리먼트가 추출됩니다. 해당되는 자식 엘리먼트의 자식 엘리먼트를 읽기 위해 IntoElem() 함수를 사용한 뒤에 원하는 엘리먼트(NAME, QTY)를 검색하기 위해 FindChildElem을 호출하고 실제로 값을 읽기 위해서 GetChildData 매서드를 호출합니다. 다 읽은 후 OutOfElem()을 호출합니다.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ExampleFrameListener의 개념

ExampleFrameListener는 ExampleApplication 클래스와 마찬가지로 Ogre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Framework 클래스 중 하나이다. KeyListener와 FrameListener로부터 다중상속을 받는 구조이며 기본적으로 갖는 책임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마우스나 키보드로부터 입력을 받아 처리하고 Frame을 렌더링하데는 필요한 상태정보를 갱신하고, 렌더링을 계속할 것인지의 여부의 결정이다. 아래는 ExampleFrameListener 클래스 관계도이다.

또한 Overlay 클래스를 이용하여 FPS 정보 등을 나타내준다. 사용자가 마우스나 키보드의 입력을 buffer 방식인지, unbuffered 방식인지의 결정에 따라 buffered 방식인 경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처리를 Event 방식(Callback 방식)으로 하기 위해 EventProcessor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해준다.

unbuffered 방식인 경우에는 InputReader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사용자가 필요한 시점에서 InputReader의 인스턴스를 이용해서 키보드나 마우스의 상태를 Query할 수 있다. buffer 방식인 경우에도 InputerReader 인스턴스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알아 두길 바란다.

기본적으로 ExampleFrameListener 클래스는 unbuffered 방식의 경우에 대해 마우스와 키보드 입력에 대한 처리를 해 놓았다. 예를 들어 커서키를 누르면 화면이 이동한다든지, 마우스를 이용해 확대나 이동을 한다든지 말이다. 하지만 사용자가 원할 경우 이러한 처리를 재정의해서 쉽게 변경할 수 있다.

buffered 방식인지, unbuffered 방식인지의 결정은 ExampleFrameListener 클래스 생성자의 인자를 통해 결정한다.

사용자 입력 이외에 ExampleFrameListener 클래스에서 중요한 것은 FrameListener 클래스의 상속에 있다. FrameListener 클래스는 단지 frameStarted와 frameEnd 가상함수만을 가지고 있다. frameStarted는 하나의 frame을 렌더링 하기 직전에 호출하고 frameEnd는 하나의 frame에 대한 렌더링이 끝났을때 호출된다. 두개의 함수 모두 bool을 반환하는데, false일 경우 다음 frame을 렌더링하지 않는다. 즉, 계속 렌더링하려면 true를 반환해야 한다.

위의 말대로라면 Ogre3D의 main loop인 Root::startRendering 함수의 내용은 다음과 같을 것이고, 실제로 같다.

  1. Root 객체는 자신에 등록된 모든 FrameListener 객체의 frameStarted 함수를 호출
  2. Root 객체는 하나의 frame을 렌더링 함
  3. Root 객체는 자신에 등록된 모든 FrameListener 객체의 frameEnd 함수를 호출

입력이 unbuffered 방식일때 frameStarted나 frameEnd 함수안에서 InputReader 인스턴스를 이용해 키보드나 마우스의 상태를 Query 해서 회전상태나, 이동상태값들을 변경해서 물체를 회전시키고 이동시킬 수 있다. 클래스 관계도에서 ExampleFrameListener 클래스가 Camera 클래스와 관계를 맺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데, 입력에 따라 상태정보를 변경하고 다시 이 상태정보를 통해 Camera를 제어하기 위해서이다. RenderWindow와 연관을 맺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FPS를 얻기
  • 개발을 위한 Debug 기능을 이용
  • 화면을 캡쳐화여 png 파일로 저장

마지막으로, 여러분들이 ExampleFrameListener 클래스의 소스를 열어놓고 기본적으로 입력에 대해서 구현해 놓은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길 바란다. 이 글을 읽은 후에 소스를 살펴보면 조금이라도 이해가 수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