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GUI의 API 정리

dat.GUI는 값을 GUI를 통해 직관적으로 변경하여 기능을 테스트해 볼 수 있는 javascript 기반의 매우 직관적인 라이브러리입니다.

dat.gui를 js에서 사용하기 위해 간단히 CDN을 통해 아래처럼 페이지에 스크립트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dat.GUI의 가장 간단한 예제입니다.

var MyData = function() {
    this.dataString = "Dip2K";
    this.dataNumber = 0.7;
    this.dataBoolean = false;
    this.dataFunction = function() {
        alert(
            "dataString: " + this.dataString + "\n" +
            "dataNumber: " + this.dataNumber + "\n" +
            "dataBoolean: " + this.dataBoolean
        );
    };
};

window.onload = function() {
    var myData = new MyData();
        
    var gui = new dat.GUI();
   
    gui.add(myData, "dataString");
    gui.add(myData, "dataNumber");
    gui.add(myData, "dataBoolean");
    gui.add(myData, "dataFunction");
}

관리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함수에 대한 new 호출을 통한 this에 바인딩되어져야 합니다. 위의 코드를 실행해 보면 아래와 UI가 페이지의 우측 상단에 표시됩니다.



위의 UI에서 보는 것처럼 함수의 new 호출로 this에 바인딩된 dataString, dataNumber, dataBoolean, dataFunction은 각각의 데이터 타입에 따라 적절한 UI로 표시되며 사용자가 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타입의 데이터는 버튼 UI로 표시되며 버튼 클릭시에 해당 함수가 호출됩니다.

이 정도만 되어도 dat.gui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지만, 여기에 덧붙여 변수값에 대한 제약 조건의 지정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dataString 변수에 대해서 입력받을 수 있는 문자열을 Dip2K, James, Anold로 제한하고 싶다면 다음처럼 코드를 작성하면 됩니다.

gui.add(myData, "dataString", ["Dip2K", "James", "Anold"]);

dataNumber에 대해서 0~100 사이의 값만을 입력받으며 0.1 단위로 값의 증가, 감소하고자 한다면 아래처럼 코드를 작성하면 되구요.

gui.add(myData, "dataNumber", 0, 100).step(0.1);

dataNumber가 비록 수치 타입이지만, 항목으로써 선택 받도록 하고 각 항목에 대한 수치값을 지정하는 방식도 가능한데, 아래와 같습니다.

gui.add(myData, "dataNumber", { A: 0, B:50, C:100 });

색상값에 대한 직관적인 입력도 가능합니다. 그 예는 아래와 같습니다.

var MyData = function() {
    this.dataString = "Dip2K";
    this.dataNumber = 50;
    this.dataBoolean = false;

    this.dataColor1 = "#ff0000";
    this.dataColor2 = [ 0, 255, 0 ];
    this.dataColor3 = { h: 350, s: 0.5, v: 0.7 };

    this.dataFunction = function() {
        alert(
            "dataString: " + this.dataString + "\n" +
            "dataNumber: " + this.dataNumber + "\n" +
            "dataBoolean: " + this.dataBoolean + "\n" +
            "dataColor1: " + this.dataColor1 + "\n" +
            "dataColor2: " + this.dataColor2 + "\n" +
            "dataColor3: " + this.dataColor3
        );
    };
};

window.onload = function() {
    var myData = new MyData();

    var gui = new dat.GUI();

    gui.add(myData, "dataString", ["Dip2K", "James", "Anold"]);
    gui.add(myData, "dataNumber", 0, 100).step(0.1);
    gui.add(myData, "dataBoolean");

    gui.addColor(myData, "dataColor1");
    gui.addColor(myData, "dataColor2");
    gui.addColor(myData, "dataColor3");
            
    gui.add(myData, "dataFunction");
}

그런데 만약, 값의 변경이 dat.gui가 아닌 다른 곳에서 이루어진 다면, 변경된 값을 dat.gui에서 반영해 줘야 할 것입니다. 이는 매우 간단합니다. 즉, 아래처럼 listen을 호출해 주면 됩니다. 이 listen 함수는 타이머를 생성하고 이 타이머에서 값의 변경 여부를 검사하여 dat.gui에 반영해주게 됩니다.

gui.add(myData, "dataNumber").listen();

끝으로 dat.gui를 통한 값의 변경이 발생하면, 이에 대한 이벤트가 호출되도록 할 수 있는데, 그 예는 아래와 같습니다.

gui.add(myData, "dataNumber").onChange(
    function(v) {
        //alert(v);
    }).onFinishChange(
    function(v) {
        alert(v);
    });

onChange는 값 변경 중의 매 순간 발생하는 이벤트이고, onFinishChange는 최종적인 값의 변경이 발생할 때 호출되는 이벤트입니다.

이외에도 dat.gui는 설정된 값을 localStorage에 저장할 수 있는 기능도 있다는 것도 알아두시면 유용할듯합니다.

C#으로 SQLite 다루기

메모리 기반에서 자료를 다루기 위해 Array나 Linked List 그리고 Hashmap 등을 사용하지만, 대용량 또는 SQL 문을 통한 다양한 조건검색을 위해 DBMS을 사용해야할 때가 있습니다. 설치도 필요없고 가볍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Local DBMS로 SQLite는 안드로이드나 SVN 등과 같이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는데.. C#으로 이 SQLite를 다루는 내용에 대해 정리를 해 봅니다.

C#에서 SQLit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NET용 SQLite 어셈블리 모듈을 설치해야 합니다. SQLite 공식 사이트에서 관련 파일을 설치할 수 있는 setup 파일을 받아 설치하기 바랍니다.

개발을 위해 필요한 파일이 설치되면 Visual Studio에서 C#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아래의 화면처럼 어셈블리 참조를 추가해 줍니다.

위의 화면에서 추가한 System.Data.SQLite 참조는 SQLite를 위한 ADO.NET 데이터 제공자(Data Provider)입니다. 이 참조는 앞서 설치된 폴더에 System.Data.SQLite.dll 파일을 통해 추가할 수 있습니다.

참조를 추가했으므로 코드에서 참조와 관련된 클래스를 빠르게 접근하기 위한 아래의 using 문을 추가합니다.

using System.Data.SQLite;

이제 다음과 같은 폼을 디자인함으로써 SQLite에 대한 주요 내용에 대한 코드를 살펴 보겠습니다.

폼 상에 버튼의 제목을 통해 우리가 파악할 SQLite에 대한 코드가 무엇인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즉, 아래와 같습니다.

  1. Create DB File – SQLite DB 파일을 생성합니다.
  2. Open DB – 생성한 DB 파일을 사용하기 위해 연결합니다.
  3. Create Table – DB 파일에 테이블을 생성합니다.
  4. Insert Row – 생성한 테이블에 Row를 추가합니다.
  5. Query Data –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조회합니다.
  6. Close Connection – DB 파일에 대한 연결을 닫습니다.

먼저 SQLite DB 파일을 생성하는 버튼에 대한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SQLiteConnection.CreateFile("c:/a.sqlite");

위의 코드가 성공한다면 C:\ 경로에 a.sqlite라는 파일이 생성될 것입니다. 다음은 생성한 DB 파일을 사용하기 위해 연결하는 코드입니다.

conn = new SQLiteConnection("Data Source=c:/a.sqlite;Version=3;");
conn.Open();

위의 코드에서 conn 변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private SQLiteConnection conn = null;

이제 다음은 DB 파일에 테이블을 생성하는 코드입니다.

string sql = "create table members (name varchar(20), age int)";

SQLiteCommand command = new SQLiteCommand(sql, conn);
int result = command.ExecuteNonQuery();

sql = "create index idx01 on members(name)";
command = new SQLiteCommand(sql, conn);
result = command.ExecuteNonQuery();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CREATE SQL 문을 통해 테이블을 생성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인덱스(INDEX)까지도 생성하고 있습니다. 이제 다음은 생성한 테이블에 Row를 추가하는 코드입니다.

String sql = "insert into members (name, age) values ('김도현', 6)";

SQLiteCommand command = new SQLiteCommand(sql, conn);
int result = command.ExecuteNonQuery();

아.. 우리 와이프 코고는 소리가 들리네요.. -_-; 여튼.. 위의 코드를 보면 Row를 추가하기 위해 흔히 알고 있는 INSERT SQL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조회 코드입니다.

String sql = "select * from members";

SQLiteCommand cmd = new SQLiteCommand(sql, conn);
SQLiteDataReader rdr = cmd.ExecuteReader();
while (rdr.Read()) {
    MessageBox.Show(rdr["name"] + " " + rdr["age"]);
}

rdr.Close();

SELECT SQL문을 통해 조회할 수 있으며, SQLiteDataReader 클래스를 통해 실제 조회된 데이터를 필드별로 읽어 낼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끝으로 DB에 연결된 Connection 객체를 닫는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conn.Close();

자, 이상으로 요긴하게 바로 사용할 수 있는 Local DBMS인 SQLite를 C#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