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ash Builder 4.5 정식 시리얼 키 발급 받는 법

http://www.adobe.com/devnet-apps/flex/free/

플래시 빌더를 개발한 Adobe는 학생 또는 플래시 빌더에 관심을 가지는 일반인들에게 무료로 시리얼 키를 발급해 줍니다. 비록 프리미엄이 아닌 스텐다드 버전이지만 사용 기간에 구애받지 않고 마음껏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추천합니다. 시리얼 키가 메일로 도착하는 시간은 짧게는 3일에서 길게는 2주정도 소요됩니다.

애플이 주장한 삼성전자 ‘갤럭시탭10.1’ 특허 침해 사례 외…

애플이 독일서 주장한 삼성전자 ‘갤럭시탭10.1’ 특허 침해 사례라고 합니다.

  1. 네 모통이가 고르게 둥글게 만들어진 직사각형
  2. 제품의 앞 부분이 평평하고 투명
  3. 평평하고 투명한 앞표면 주변에 눈에 띄는 금속
  4. 맑은 표면을 가진 디스플레이가 화면 가운데 위치
  5. 투명한 앞표면 아래 놓여 있는 디스플레이가 명확하고 중립적인 경계에 위치
  6. 제품 전원을 켰을 때 색상이 있는 아이콘이 등장

어떻게 보십니까? 뭐가 독창적인 항목이란게 있나요? 몇일전 건대쪽 애플 매장에 들렸습니다.. iOS쪽 개발과 Objective C 언어에 대한 관심… 그리고 라이언이라는 새로운 OS의 출시와 함께.. 맥OS를 사용해보고.. “개발자”로써 익히고 배워 보고자.. 마침 새로 출시한 맥북에어를 구매하기 위해서였습니다.. 그족 매장 직원이 나에게 요구했던 황당한 행동..

  1.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결제하는데 신분증 제출 요구
  2. 스킨을 붙여 준다는데 수고비 만오천원 요구. 어렵게 붙일 수 있는 스킨이 아닌 쉽게 할 수 있는 제품은 아예 판매 조차 하지 않음
  3. 제품 개봉은 사무실에서 하려고 했는데 직원은 매장에서 개봉해 보고 하자가 있는지 확인할 것을 권유.. 불량화소는 제품하자가 아님. 빛샘 현상은 하자가 아니라면서 직접 개봉하라면서 칼을 내 손에 쥐어줌

소비자의 입장에서 어떤 제품을 구매한다는 것은 기대치로 인한 설레임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러한 애플의 서비스 정책으로 설레임이 아닌 한마디로 매우 불쾌했습니다.. 제품에 대한 설레임이 애플 서비스 정책으로 인해 불쾌함으로 변질되는 순간이였습니다. 애플의 서비스, 전략은 모두 우수한 제품에 기반해 성공한 것이지 애플의 서비스 전략 자체만을 놓고 보면 형편없기 짝이 없다고 생각 합니다. 애플의 마케팅 정책은 반면교사일뿐 모범으로써 따를 가치가 없습니다.

[GIS] 지오서비스, 플래시 기반의 GIS 솔루션 납품

지오서비스(대표 김형준)은 플래시 기반의 GIS 솔루션인 핑거아이즈(FingerEyes)를 개발하고 이를 한진정보통신의 지자체에서 발주한 공간정보 인트라넷 시스템 개발의 맵 솔루션으로 채택되었으며 성공적으로 개발을 완료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핑거아이즈가 적용된 공간 정보시스템은 25cm급 고해상도 항공영상과 수치지도를 기본도로 하여 기반 시설물인 상수, 하수 그리고 도로를 관리하고 건물명 그리고 새주소와 지번을 검색할 수 있다.

공간 데이터에 대한 분석이나 편집등과 같은 고급 GIS 기능이 필요한 기존의 GIS 시스템은 대부분 ActiveX 기반의 GIS 솔루션이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ActiveX는 악의적인 코드로 보안상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IE에서만 구동 된다는 점 그리고 특정한 환경에서 설치가 제대로 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 등이 제기 되어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이 되는 99%의 PC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플래시를 사용해 개발된 핑거아이즈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등과 같은 대부분의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며 GIS 시스템 전반에 필요로 하는 공간분석, 공간 데이터 편집, 시설물 등을 지도에 매쉬업하는 기능 등을 제공한다.

또한 핑거아이즈는 자체 공간서버를 이용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ArcSDE와 같은 기존의 공간서버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있어 기존에 ActiveX로 개발된 시스템을 핑거아이즈로 유지보수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였다.

[GIS] 한국의 Spatial Reference (검증필요)

Bessel LatLng

GEOGCS["GCS_Bessel_1841",
    DATUM["Bessel_1841", SPHEROID["Bessel_1841",6377397.155,299.152815351]],
    PRIMEM["Greenwich",0],
    UNIT["Degree",0.017453292519943295]
]

WGS84 LatLng

GEOGCS["GCS_WGS_1984",
    DATUM["WGS_1984", SPHEROID["WGS_1984",6378137,298.257223563]],
    PRIMEM["Greenwich",0],
    UNIT["Degree",0.017453292519943295]
] 

GRS80 LatLng

GEOGCS["GCS_GRS_1980",
    DATUM["GRS_1980", SPHEROID["GRS_1980",6378137.0,298.257222101]],
    PRIMEM["Greenwich",0],
    UNIT["Degree",0.017453292519943295]
]

UTM-K (GRS80)

PROJCS["UTM-K, GRS80",
    GEOGCS["GCS_ITRF_2000",
        DATUM["D_ITRF_2000", SPHEROID["GRS_1980",6378137.0,298.257222101]],
        PRIMEM["Greenwich",0.0],
        UNIT["Degree",0.0174532925199433]
    ],
    PROJECTION["Transverse_Mercator"],
    PARAMETER["False_Easting",1000000.0],
    PARAMETER["False_Northing",2000000.0],
    PARAMETER["Central_Meridian",127.502890],
    PARAMETER["Scale_Factor",0.9996],
    PARAMETER["Latitude_Of_Origin",38.0],
    UNIT["Meter",1.0]
]

Korea TM West Belt

PROJCS["Korea TM West GRS80",
    GEOGCS["GCS_ITRF_2000",
        DATUM["D_ITRF_2000", SPHEROID["GRS_1980",6378137.0,298.257222101]],
        PRIMEM["Greenwich",0.0],
        UNIT["Degree",0.0174532925199433]
    ],
    PROJECTION["Transverse_Mercator"],
    PARAMETER["False_Easting",200000.0],
    PARAMETER["False_Northing",500000.0],
    PARAMETER["Central_Meridian",125.0],
    PARAMETER["Scale_Factor",1.0],
    PARAMETER["Latitude_Of_Origin",38.0],
    UNIT["Meter",1.0]
]

Korea TM Central Belt

PROJCS["Korea TM Central GRS80",
    GEOGCS["GCS_ITRF_2000",
        DATUM["D_ITRF_2000", SPHEROID["GRS_1980",6378137.0,298.257222101]],
        PRIMEM["Greenwich",0.0],
        UNIT["Degree",0.0174532925199433]
    ],
    PROJECTION["Transverse_Mercator"],
    PARAMETER["False_Easting",200000.0],
    PARAMETER["False_Northing",500000.0],
    PARAMETER["Central_Meridian",127.0],
    PARAMETER["Scale_Factor",1.0],
    PARAMETER["Latitude_Of_Origin",38.0],
    UNIT["Meter",1.0]
]

Korea TM East Belt

PROJCS["Korea TM East GRS80",
    GEOGCS["GCS_ITRF_2000",
        DATUM["D_ITRF_2000", SPHEROID["GRS_1980",6378137.0,298.257222101]],
        PRIMEM["Greenwich",0.0],
        UNIT["Degree",0.0174532925199433]
    ],
    PROJECTION["Transverse_Mercator"],
    PARAMETER["False_Easting",200000.0],
    PARAMETER["False_Northing",500000.0],
    PARAMETER["Central_Meridian",129.0],
    PARAMETER["Scale_Factor",1.0],
    PARAMETER["Latitude_Of_Origin",38.0],
    UNIT["Meter",1.0]
]

KATEC

PROJCS["KATEC",
    GEOGCS["GCS_Korean_Datum_1985",
        DATUM["D_Korean_Datum_1985", 
            SPHEROID["Bessel_1841",6377397.155,299.1528128]],
        PRIMEM["Greenwich",0.0],
        UNIT["Degree",0.0174532925199433]
    ],
    PROJECTION["Transverse_Mercator"],
    PARAMETER["False_Easting",400000.0],
    PARAMETER["False_Northing",600000.0],
    PARAMETER["Central_Meridian",128.0],
    PARAMETER["Scale_Factor",0.9999],
    PARAMETER["Latitude_Of_Origin",38.0],
    UNIT["Meter",1.0]]
]

UTM 51N Zone WGS84

PROJCS["UTM 51N WGS84",
    GEOGCS["GCS_WGS_1984",
        DATUM["WGS_1984", SPHEROID["WGS_1984",6378137,298.257223563]],
        PRIMEM["Greenwich",0],
        UNIT["Degree",0.017453292519943295]
    ],
    PROJECTION["Transverse_Mercator"],
    PARAMETER["false_easting",500000.000],
    PARAMETER["false_northing",0.000],
    PARAMETER["central_meridian",123.0],
    PARAMETER["scale_factor",0.9996],
    PARAMETER["latitude_of_origin",0.000],
    UNIT["Meter",1.00000000000000]
]

UTM 52N Zone WGS84

PROJCS["UTM 52N WGS84",
    GEOGCS["GCS_WGS_1984",
        DATUM["WGS_1984", SPHEROID["WGS_1984",6378137,298.257223563]],
        PRIMEM["Greenwich",0.0],
        UNIT["Degree",0.0174532925199433]
    ],
    PROJECTION["Transverse_Mercator"],
    PARAMETER["False_Easting",500000.0],
    PARAMETER["False_Northing",0.0],
    PARAMETER["Central_Meridian",129.0],
    PARAMETER["Scale_Factor",0.9996],
    PARAMETER["Latitude_Of_Origin",0.0],
    UNIT["Meter",1.0]]
]

변환 매개변수 지정하는 방식의 예

PROJCS["....",
    GEOGCS["....",
        TOWGS84[0,0,0,0,0,0,0],
        ....
    ],
    ....
]

[GIS] 좌표계(Coordinate System)의 종류

좌표계는 단순히 어떤 중심을 기준으로.. 즉 원점에 대해 공간적 속성을 설명하는 방법으로 다음 세가지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구의 중심을 원점으로 (X,Y,Z) 좌표에 기반하는 Geocentric coordinate system(지심좌표계)로써 이 좌표계는 GPS가 내부적으로 좌표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하지만 일반인에게는 그다지 실용적이 않은데.. 동쪽, 서쪽, 위, 아래에 대한 개념이 아리송하기 때문입니다. 해서.. 이 좌표계는 좀처럼 사용자에게 언급되지 않지만 어떤 좌표계를 또다른 좌표계로 변환하기 위해 거치는 중간 단계의 좌표계로 사용자에게 언급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Spherical Coordinate System(구체 좌표계), 같은 용어로 Geographic Coordinate System(지리적 좌표계)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좌표계입니다. 본초 좌오선(prime meridian)과 Equator(적도)를 기준으로 보통 Longitute(경도), Latitude(위도)와 같은 각도값으로 좌표를 나타냅니다. 높이는 평균해수면(mean sea level)이나 사용자가 정의한 Datum을 기준으로 나타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Cartesian Coordinate System(데카르트 좌표계, 직각 좌표계)는 지구의 표면에 대한 “평편”한 좌표계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지구는 원래 평편하지 않고 어떤 한 방향에 대해서 curvature(곡률)을 가지고 있으므로 scale-error(축척 에러)라고 알려진.. 원점에서 멀어질 수록 오차가 점점 더 크게 발생하는 좌표계입니다. 데카르트 좌표계로써 가장 잘 알려진 것이 바로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UTM)이지만, 각 국가 또는 지역, 개인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데카르트 좌표계를 정의해서 사용합니다. 오차의 문제가 있으나 거리, 각도 그리고 넓이와 같은 계산을 매우 직관적으로  매우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